'데못죽'을 단순한 아이돌웹툰, 웹소설로만 보고있나요?
웹툰 속에서 플라톤을 보다
‘데못죽(데뷔 못 하면 죽는 병에 걸림)’은 단순한 아이돌 웹툰이 아닙니다.
이야기 속 캐릭터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아이돌’, 그들은 단지 데뷔를 위해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이데아(Idea)’라 불릴 수 있는 이상적인 존재를 향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던지고 있습니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완전하고 영원불변한 본질적 개념을 뜻합니다. 이데아엔 대한 해석은 다양할수 있습니다. '데못죽'에서 현실의 아이돌이 아닌, '완벽한 아이돌'이 되기 위한 끝없는 투쟁으로 구현됩니다.
이 글의 목적은 웹툰 '데못죽'이 이 ‘이데아’ 개념을 어떻게 스토리와 인물에 녹여내는지 분석하고, 작품의 주제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입니다.
1. 아이돌이라는 이데아: 팬과 세상이 기대하는 완전한 존재
'데못죽' 속 아이돌 연습생들은 단순히 데뷔를 목표로 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꿈꾸는 것은 ‘팬이 열망하는 이상적인 존재’가 되는 것, 곧 이데아적 아이돌입니다.
현실은 외모, 실력, 인성, 팬서비스까지 모두 갖춘 '완벽한 존재'를 기대합니다. 이 이상은 추상적이면서도 강력하며, 캐릭터들의 삶을 지배하는 신념이자 굴레로 작용합니다.
2. 인물 분석: 이데아를 향해 걷는 각기 다른 방식
박문대
- 대표적인 성장형 주인공.
- 착하고 성실하지만 그 성실함이 때로는 '인정받고 싶은 욕망'과 뒤섞입니다.
- 그는 완벽한 센터, 완벽한 멤버라는 이데아를 꿈꾸지만, 현실은 그를 자주 배신합니다.
- 그의 고뇌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존재론적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류청우
- 외적으로 완벽한 리더.
- 하지만 그의 내면에는 끊임없는 의심과 부담이 존재합니다.
- 그는 '이상적인 리더'라는 외부의 틀에 맞추려다 스스로를 잃어가며 고통받습니다.
선아현
- 내향적이고 예민한 감성 캐릭터.
- '예술적 이데아'를 추구하지만 말과 표현에 서툽니다.
- 그가 꿈꾸는 '진정성 있는 음악'은 상업성과의 충돌로 인해 더욱 힘겨운 이데아입니다.
각 인물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신만의 이데아를 추구하며, 실패와 고뇌, 충돌을 통해 변화합니다.
이 과정이 곧 '데못죽'이 주제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핵심입니다.
3. '데못죽'의 주제와 이데아의 연결
‘데못죽’은 데뷔라는 현실적 목표를 앞세우지만, 실은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 내가 되고 싶은 나는 누구인가?
- 사회가 요구하는 이상은 진짜 나에게 유효한가?
- 이데아를 향한 투쟁은 나를 성장시키는가, 소모시키는가?
이러한 고민은 캐릭터를 넘어, 독자인 우리에게도 그대로 투영됩니다. ‘데못죽’은 현실적인 이야기인 동시에 철학적 주제의식을 품고 있습니다.
당신의 이데아는 무엇인가요?
‘데못죽’은 아이돌이라는 소재를 빌려, 성장과 고뇌, 존재의 불안정함을 그려냅니다.
이데아를 향한 여정은 곧 자아실현의 과정이며, 이 이야기는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이 꿈꾸는 이데아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이제, 이 웹툰 속 이상을 현실로 확장한 특별한 경험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스파오 X 데못죽 콜라보 : 데뷔못하면 죽는병도 나을 잠옷 출시 (현재 품절)
다양한 한정판굿즈 : LP 코스터 마법소년, 문대 사인 시리얼컵 등의 펀딩 진행,
중고거래 앱 등에서 책과 다양한 굿즈를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