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지수, 어떻게 다르게 측정될까? – 부탄과 핀란드 사례로 보는 행복의 기준

행복 은 단순한 감정일까요, 아니면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일까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관이 ‘행복’을 수치화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측정 기준이 다르다 보니 같은 나라라도 순위가 천차만별 입니다. 최근엔 부탄이 과거의 ‘행복한 나라’ 이미지를 잃고 있고, 핀란드는 8년 연속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뉴스도 있었죠. ✅ 주요 행복지수 측정 방식 비교 기관/지표명 공식 명칭 주요 평가 요소 특징 대표 순위 상위국 🌍 UN – 세계행복보고서 World Happiness Report (WHR) ① GDP ② 사회적 지원 ③ 건강 기대수명 ④ 자유도 ⑤ 관대함 ⑥ 부패 인식 삶의 만족도 중심 핀란드, 덴마크, 아이슬란드 🌿 NEF – 행복한 행성 지수 Happy Planet Index (HPI) ① 기대수명 ② 삶의 만족도 ③ 생태 발자국 환경 지속 가능성 중심 코스타리카, 바누아투, 콜롬비아 💼 OECD – 삶의 질 지표 Better Life Index ① 소득 ② 고용 ③ 건강 ④ 교육 ⑤ 환경 등 11개 항목 전반적인 삶의 질 종합 평가 노르웨이, 호주, 스웨덴 🌱 UNDP – 인간개발지수 Human Development Index (HDI) ① 기대수명 ② 교육 ③ 국민 소득 기본 개발 수준 중심 스위스, 노르웨이, 독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