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park-chanwook인 게시물 표시

박찬욱 감독은 왜 도널드 웨스트레이크를 선택했을까?

이미지
복수는 감정이 아니라 구조다 박찬욱 감독은 오랜 시간 동안 ‘복수’를 영화의 중심 주제로 다뤄왔습니다. 그는 단순한 감정 해소를 넘어, 복수의 윤리와 존재론적 고통을 탐색해왔죠.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라는 미국 범죄소설의 거장의 작품을 택했다는 것은 단순한 장르 실험이 아닙니다.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등 이른바 ‘복수 3부작’을 통해 그런 박찬욱이 2025년 신작 <어쩔 수 없다>를 통해 그 선택엔 공통된 인간관, 복수에 대한 철학, 캐릭터를 바라보는 시선이 숨어 있습니다. 📚 웨스트레이크와 박찬욱, 복수를 말하다 1. 복수는 ‘감정’이 아니라 ‘논리’다 웨스트레이크가 창조한 ‘파커’는 배신을 당해 복수를 결심하지만, 그 과정엔 분노도 정의도 없습니다. 그는 그냥 되돌려받고 싶은 것 이 있을 뿐입니다. 박찬욱의 인물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대수(올드보이)는 딸을 빼앗긴 감정에 복수하지 않습니다. 그는 “왜 그랬는가”를 알고 싶고, 균형을 회복하고 싶을 뿐 이죠. → 둘 다 ‘내가 당한 만큼 되갚아야 질서가 회복된다’ 는 논리를 따릅니다. 2. 인물은 ‘영웅’도 ‘악인’도 아니다 웨스트레이크의 주인공들은 범죄자지만, 나쁜 사람이 아닙니다. 인간적이고, 때로는 어설프고, 우습기도 합니다. 박찬욱의 인물들도 선악의 경계를 허무는 존재들 입니다.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이고, 구원받고 싶지만 계속해서 무너집니다. → 두 작가는 ‘이해할 수 있는 악’을 통해 인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3. 복수는 해소가 아니라, 존재의 증명이다 웨스트레이크의 인물들은 복수를 통해 ‘자신의 원칙’을 지키고 세상에 대한 태도를 증명합니다. 박찬욱의 인물들도 복수는 정체성을 되찾는 수단 입니다. 상처받은 존재가 복수를 통해 자신을 회복하려는 시도, 그것이 핵심입니다. 🎬 <어쩔 수 없다>는 그 철학의 교차점 박찬욱 감독은 <어...